Economist, Nov 3rd 2018


As america prepares to go to the polls on November 6th, the country is more divided and angry than it has been in decades. Campaigning for the mid-terms has been marred by politicians routinely treating each other as rogues, fools or traitors. In recent days a supporter of President Donald Trump has sent bombs to 14 of his opponents and a white supremacist has murdered 11 worshippers at a synagogue, in the worst anti-Semitic act in America’s history

Toxic federal politics is America’s great weakness. It prevents action on pressing real issues, from immigration to welfare; it erodes Americans’ faith in their government and its institutions; and it dims the beacon of American democracy abroad. The mid-term elections are a chance to begin stopping the rot—and even to start the arduous task of putting it right.

Mr Trump did not begin this abasement. But he has embraced it as enthusiastically as anyone and carried it to new depths of his own devising. All politicians stretch the truth. Mr Trump lies with abandon—over 5,000 times since he was inaugurated, according to the Washington Post. His deceit is so brazen and effective that many of his supporters take his word above any of his critics’, especially those in the media, and seemingly in the face of all the evidence. That suits Mr Trump because, once nobody is believed, he cannot be held to account. But it is disastrous for America. Once reasoned debate loses its power to win arguments, democracy cannot function.

Mr Trump is also wilfully divisive. All politicians attack their opponents, but presidents see it as their duty to unite the country after a tragedy. Only Mr Trump would think the Tree of Life synagogue shooting a chance to hit back at the media and the Democrats for criticising him (see article). Only he would suggest that, rather than tone down his explosive rhetoric, he might just “tone it up”. Such divisiveness matters because, when your opponents are simply bad people, the compromise that is the foundation of all healthy politics becomes hard within parties and almost impossible between them.

Mr Trump is not the only politician to wallow in division—just the most powerful and one of the most accomplished. Before he was elected, more than half of Democrats told pollsters that they were afraid of Republicans and almost half of Republicans said the same about Democrats. After a Republican congressman was shot by an unstable gunman last summer, leading Democrats expressed “outrage” at the idea that their rhetoric had played any part. Yet they used the attempted bombings and the synagogue shooting to begin a debate about the precise degree of presidential responsibility for domestic terrorism.

America’s democracy is robust—it was designed to be. However, one by one, its institutions are being infected with toxic polarisation. Congress caught the bug in the 1990s, when Newt Gingrich was Speaker. The media have also fallen victim to partisan scepticism—certainly among audiences, if not also among contributors. Just 11% of strong Trump supporters believe the mainstream media, whereas 91% of them trust Mr Trump, a cbs News poll found in the summer. Among Democrats those beliefs tend to be reversed. Now the Supreme Court is perceived to be partisan, too. Democrats see the recent confirmation of Brett Kavanaugh to the court as the ramming through of a partisan who has lied, possibly about a sexual assault, and who will be incapable of putting the law above his party. Republicans, by contrast, see it as a triumph over a monstrous Democratic conspiracy to keep a decent man down. A dishonest executive, conniving with a fawning legislature and empowered by a partisan judiciary: were it to come to that, America truly would be in grave trouble.

What is to be done? Just as American politics did not sour overnight, so the route forward is by many small steps, beginning with next week’s elections. And the first of those steps is for the House, at a minimum, to switch to Democratic control.

This matters because Mr Trump should be subject to congressional oversight. He shows contempt for the norms that, to varying degrees, constrained past presidents—whether by refusing to release his tax returns, mixing official and private business, or bullying officials working in, say, the justice department who should be independent. Congress should hold hearings to investigate such behaviour. But House Republicans have repeatedly failed to do this, neglecting their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Faced with the judgment of the intelligence services that Russia interven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for instance, they subpoenaed the officials overseeing the investigation so as to make their work harder. Their abdication of responsibility means that a continued Republican majority in the House would eventually imperil the rule of law.

For Democrats to win control of the House would, in the long run, benefit both parties. Defeat would encourage some Republicans to start putting forward a conservative alternative to Trumpism. Defeat in the Senate, too, would turbo-charge that effort, though it looks unlikely. The status quo, by contrast, would cement Mr Trump’s takeover of the party.

The calculation for the Democrats rests on the danger of defeat. Even now, they are in the midst of an argument between the centre and the radical wing of the party (see Briefing). Another loss could send them careering leftward. If the Democrats once again won a majority of votes but ended up with only a minority of seats, the party could be tempted to build a platform on norm-busting policies, like expanding the size of the Supreme Court or impeaching justices. By contrast, a House takeover would embolden the party’s moderates.

Nor has divided government always led to gridlock. Even now the president and congressional Democrats agree on some things, such as building infrastructure, confronting China and fighting the opioid epidemic. Let them fight over everything else, but put aside their mutual contempt in pursuit of policies for which they can both claim credit. A single example might show there can be value and dignity in compromise.

America will not mend its politics in a single election. At a minimum, progress will take more votes, a renewal of the Republican Party and a different president with a different moral compass. But the right result next week could point the way.


 

먼 훗날 당신이 찾으시면

그 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당신이 속으로 나무라면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그래도 당신이 나무라면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고

먼 훗날 그 때에 "잊었노라


1. Learn

새로운 것을 도전적으로 받아들이며 즐긴다

2. Labor

자신이 하는 일에 의미를 부여하고 정열을 쏟는다

3. Love

정서적 지원이 되는 인적 네트워크를 갖는다

4. Laugh

경직된 상황을 반전시키고 여유를 찾을 수 있는 유머 감각이 있다

5. Let Go

자신의 능력을 벗어나는 일은 잊고 자신 있는 일에 에너지를 쏟는다

'취미 >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erica Divided: Why the mid-terms matter  (0) 2018.11.08
김소월, "먼 후일"  (0) 2009.12.08
일을 잘하려면  (0) 2009.12.08
Life lesson  (0) 2009.12.08
열심히 일 하고도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4가지 특징  (0) 2009.12.08

1. 문제 중심적 사고보다 해결 지향적 사고를

   ;'하고 싶은 일'과 '잘할 수 있는 일'의 공통분모를 찾고, 직간접적인 경험을 넓혀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더 앞을 바라보며 목표 달성이 안되었어도 잘되기 위한 해결책을 찾자.

 

2. 일을 잘 나눠야

   ; 첫째 일의 순서(priority)를 정하고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도 될 일을 나누고 마지막으로 세부목표와 세부과정을 잘 나눠 개별 요소를 놓치지 않는 통합적인 시야를 갖추도록 노력하자.

 

3. 자신만의 업무 매뉴얼을

   ; 참조할 자료와 경험있는 선배를 통해 자신만의 매뉴얼을 만들고 일 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시간 안배에 주력하자-늦게까지 일 하는것이 일을 잘 한다는 것은 아니다.

'취미 >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소월, "먼 후일"  (0) 2009.12.08
성공한 직장인의 5L  (0) 2009.12.08
Life lesson  (0) 2009.12.08
열심히 일 하고도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4가지 특징  (0) 2009.12.08
피천득, "너"  (0) 2009.12.08

 

--at work

1. to look influential, wear black

2. to get closer to the boss, ask him or her to have coffee with you

3. to make yourself necessary at teamwork, put a dog picture on yout desk

 

--with a man

1. to sex appeal unconsciously, use sensual words with any topic

2. to get after from him, sit next to him but on his left side

3. to have conversation without an argument, take him to the feminine restaurant

 

--in social settings

1. to make friends with her, mimick her gestures

2. to make a good impression, make compliments on favorite politicians, enmtertainers or musicians

3. to punish people who blame on me, just move when they speak


1. 습관적으로 야근한다.

-야근을 성실함의 표본으로 인정해주던 일본에서도 최근 일과 삶, 생명과의 조화라는 특면에 초점을 맞추면서 야근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추세로 변하고 있다. 능력있는 직원일수록 자신의 삶과 일의 조화를 원하는 경향이 강해졌으며 이는 능력 향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존스홉킨스 의대의 존 가트너 교수는 '가벼운 조증(Hypomania), 즉 자신의 삶에 대한 흥미를 느껴 흥분된 상태를 지속시켜 주는 습관을 들여야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런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깊은 수면 상태인 렘(REM)을 항상 취해야 하며, 수면을 방해하고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야근을 점점 줄여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2. 오로지 일에만 매달린다.

-자신에게 주어진 일들을 남보다 잘해내야 한다는 생각에 심리적인 압박이 커지면서 신체적인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피곤하고 초조함을 느끼는 강박증, 일명 TATT증후군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이런 강박증이 습관화 되는 것은 일에 지나치게 빠져있기 때문이다. 최근 <포브스>인터넷 판에서는 '지속 가능한 워커홀릭이 되는 법'을 소개했다. 해야할 일을 몇 가지로 제한 한 뒤 그것의 리스트를 적고 업무의 순위를 정하는 것은 기본. 또한 단 한 시간만이라도 자기 시간을 내어 운동이나 취미 활동을 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3. 착한 직원으로 보이는 것이 지상목표다.

-어떤 사람에게도 인심을 잃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가? 혹시 착한 척하며 가식과 위선의 두 얼굴로 자신을 포장하고 있다면, 오히려 무능력하게 보이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대표적인 비호감 연예인으로 꼽히는 김구라는 한 인터뷰에서 직장인에게 "욕 먹는 것을 두려워 말아라"고 말했다. 욕을 먹을 때는 먹더라도 자기 목소리를 내는 사람이 능력 있어 보이며, 직장 내에서 '쉽지 않은 사람'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라도 약간의 까칠함을 유지하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직장에서는 유재석보다 박명수가 성공할 확률이 더 높다는 것!

 

4. 표정관리가 미숙하다.

-속마음이 얼굴에 그대로 나타나는 습관이 있는가? 실제로 직장인 10명 중 6명 이상이 표정 관리를 잘 못해 손해를 본 적이 있다고 한다. 표정관리에 실패하게 되면 이미지는 물론 인간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표정관리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마인드 컨트롤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스포츠 선수들이 마인드 컨트롤에 열을 올리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마인드 컨트롤이 성공 여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이미 터득했기 때문이다. 포커페이스는 성공하기 위해 익혀야 할 기본 테크닉임을 잊지 말 것.

'취미 >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을 잘하려면  (0) 2009.12.08
Life lesson  (0) 2009.12.08
피천득, "너"  (0) 2009.12.08
성공적 프레젠테이션 10계명 동아일보 2008년 6월 18일자  (0) 2009.12.08
성공하기 위해 지켜야 할 것  (0) 2009.12.08


눈보라 헤치며

날아와

 

눈 쌓이는 가지에

나래를 털고

 

그저 얼마동안

앉아 있다가

 

깃털 하나

아니 떨구고

 

아득한 눈 속으로

사라져가는

 


1. 주제를 정하라

2. 내용에 대한 열정을 나타내라

3. 전체의 틀을 제시하라

4. 숫자에 의미를 부여하라

5. 잊지 못할 순간을 연출하라

6. 슬라이드는 눈에 띄게 만들어라

7. 쇼를 보여줘라

8. 작은 실수에 당황하지 말라

9. 이득을 강조하고 팔아라

10. 리허설, 리허설, 리허설... 연습을 반복하라

'취미 >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심히 일 하고도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4가지 특징  (0) 2009.12.08
피천득, "너"  (0) 2009.12.08
성공하기 위해 지켜야 할 것  (0) 2009.12.08
칭찬 10계명  (0) 2009.12.08
10 success secrets bosses never tell  (0) 2009.12.08

 

1. 조직이 요구하는 자격을 갖추도록 노력해라

 

2. 스스로의 행복을 위해 일하라

 

3. 순수함과 열정을 가져라

 

4. 상대를 배려하고 신뢰를 싿기 위해 노력하라

 

5. 지구력과 결단력을 가져라

 

6. 때로는 자기 희생도 필요하다

 

7. 어려운 상황도 피하지 말고 받아 들여라

'취미 >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천득, "너"  (0) 2009.12.08
성공적 프레젠테이션 10계명 동아일보 2008년 6월 18일자  (0) 2009.12.08
칭찬 10계명  (0) 2009.12.08
10 success secrets bosses never tell  (0) 2009.12.08
황동규, "소곡 3"  (0) 2009.12.08

1. 칭찬할 일이 생기면 즉시 칭찬해라

 

2. 잘한 점을 구체적으로 칭찬하라

 

3. 가능한 한 공개적으로 칭찬하라

 

4. 결과보다는 과정을 칭찬하라

 

5. 사랑하는 사람을 대하듯 칭찬하라

 

6. 거짓 없이 진실한 마음으로 칭찬하라

 

7. 긍정적으로 생각을 바꾸면 칭찬할 일이 보인다

 

8. 일의 진척사항이 여의치 않을 때 더욱 격려하라

 

9. 잘못한 일이 생기면 야단치기보다 관심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라

 

10. 가끔 스스로를 칭찬하라

+ Recent posts